본문 바로가기

공모주분석

신규상장주 "뉴파워프라즈마" 주식 알아보기

반응형

 

 

 

1) 뉴파워프라즈마 기업소개

 

 

 기업명 

뉴파워프라즈마 

 대표자 

위순임 

설립일

1999.10.07 

업   종

반도체 제조업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신원로 176 

 

 

2) 뉴파워프라즈마 기업연혁

 

 

 1999년

 뉴파워프라즈마 설립 

 2001년

 유망선진기술기업 지정 

 2003년

 NT/EM MARK 획득 , 신기술실용화 유공자 산업포장 수살 

 2004년

 2003년 한국 10대 신기술 선정,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 선정 

 2005년

 LCD용 대용량 RF GENERATOR 개발, SOFT ETCHER용 PLASMA SOURCE 개발, 신기술 실용화 유공기업 국무총리 표창 수상

 2010년

 전주공장 OPEN , 오산사업장 OPEN , Applied Materials(AMAT) Audit 승인 (공급업체 등록) 

 2013년

 중국 C/S 사무소 OPEN (쑤저우,시안) 

 2014년

 위순임 대표이사 취임, 중국(상해)법인 설립 

 2015년

 우수기술연구센터(ATC)지정, 경기도 유망중소기업 인증 

 2016년

 코스닥 청구 및 상장 예정 

 

 

3) 뉴파워프라즈마 사업소개

 

뉴파워프라즈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도체 관련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다.

 

플라즈마란,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단어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플라즈마란 제 4의 원소라고도 합니다.

제 3의 원소인 고체, 기체, 액체는 전부 원자의 모임입니다. 상온 대기압에서 원자의 상태로 안정하게 뭉쳐져 있으며, 그 뭉쳐짐이 약한것이

기체, 그다음이 액체, 가장 붙어있는게 고체라고 합니다. 뭐, 저도 어려운 단어라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뉴파워프라즈마 IR 자료)

 

 

뭐 이러한 플라즈마를 통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 '뉴파워프라즈마' 입니다.

이 프라즈마는 반도체 공정에서 전공정분야에 핵심부품으로 들어갑니다. 의료, 핵융합, 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게 장점

 

 

 

 

주 제품으로는 크게 플라즈마세정기 / 플라즈마 전원장치로 나눌수 있겠는데요..

 

1) RPG

 

플라즈마세정기인 RPG란 원격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장비의 챔버(Chamber) 에  잔류가스를 신속히 제거하는 세정용 부품으로

뉴파워프라즈마가 국내 최초, 세계에서는 두번째로 개발한 장비를 말합니다.

RPG가 필요한 이유는 주로 CVD 공정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CVD공정을 위해서는 웨어퍼나 패널에 Si 등 기타 필요한 원소의 증착을 위한 플라즈마 공정을 진행하면서 웨이퍼나 패널 외에 챔버 내부에도 공정부산물로 불순물이 증착된다고 합니다.

이 불순물들을 세정하지 않으면 다음 증착 공정시에 웨이퍼나 패널에 영향을 줌으로써 품질 및 수율이 하락하게 된다는 것이죠.

이 RPG를 통해 이것을 제거해 세정하게 됩니다.

 

 

 

플리즈마 Cleaning 으로는 국내 유일 제품이며, 현존 최대 용량으로 수율 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음.

 

 

 

경쟁사로는 국내에는 특별히 없는 상황이며, 해외경쟁업체로 MKS, AE가 있으며 주 경쟁업체는 MKS로 꼽고 있다.

위에 그림은 뉴파워프라즈마 투자설명서에서 가져온 내용인데, 제품이 100L 까지 공급할 수 있는 제품까지도 생산이 가능하다.

 

 

RPG 매출증가추이를 보면, 15년도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16년 1분기 실적이 146억으로 성장중에 있다.

이는 14년 이후 해외시장에서 두배가 넘는 매출액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기 때문인데, 국내 외 대규모 반도체 단지를 비롯해 중국 등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 시장이 대폭 커지면서 자연스레 뉴파워프라즈마의 제품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세계 RPG시장에서 15년 기준 33%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RPG시장에서는 15년 연속 1위로 약 70%의 시장을 점유중에 있다.

 

그리고 현재 신규 성장 동력으로 세정용 RPG에 이어 공정용 RPG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공정용 RPG는 국내시장에서는 전량 해외제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2) RFG

 

다음 제품으로는 RFG를 알아볼텐데 RFG는 15년 기준 매출의 9%를 차지하고 있으며, RPG 처럼 CVD 관련 공정에 국한되지 않고

전 공정에서 대표적인 Dry Etch, CVD 공정뿐만 아니라 RF Plasma가 필요한 다양한 공정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RFG는 챔버 내 가스를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발생하는데 필요한 고출력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디스플레이용 RFG를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에 AE와, 일본에 DAIHEN, Kyosan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현재는 국내 장비업체에 대한

공급이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력이 인정되었고, 향 후 반도체 용 RFG 로 확대할 수 있게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하고 있음.

국내에서 RF Power Delivery System 을 직접 개발, 생산하는 업체는 뉴파워프라즈마, 영신알에프, RFPT, 이큐베스텍 등이 있으나,

뉴파워프라즈마를 제외한 대부분은 학교, 연구소 등을 상대로 개발 판매 중이고, 현재 뉴파워프라즈마만이 국내에서 반도체장비사로부터

인정받은 업체이며, 대부분은 해외제품에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상황.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규투자 및 OLED 적용 확대에 따른 수혜를 뉴파워프라즈마도 동시에 입을 것으로 보고 있음.

 

 

 

현재 디스플레이 RFG는 글로벌 점유율 15년 10% 대에서 16년 약 29%까지 올라설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국내도 15년 30%에서 16년 74%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음.

 

 

뉴파워프라즈마의 판매방식을 보면 최종 END User(삼성, LG, SK하이닉스 등)와 직접 거래하는 방식과 OEM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음.

 

 

 

 

미국 GLOBAL 회사 'Applied Materials'는 현지 당사 영업인원이 상주하여 직접 밀착 관리 및 대응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 현지

타 업체로 영업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음.

 

 

 

 

그럼 이제 뉴파워프라즈마 공모가에 대해 알아보자.

 

동종기업으로는 에스엔텍, 테스, 유니셈, 제이스텍, 미래컴퍼니지만, 사업의 유사성이 그나마 비슷한것으로 책정한것으로 보인다.

 

 

적용 PER는 약 20정도로 하며 16년 반기 순이익에 연환산으로 산출한것으로 보여진다. 확정공모가는 공모희망가 밴드 상단을 뚫고 17,500원으로 결정되었다.

 

 

 

현재 유통가능물량은 52.15% 로 현재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은 8만 5천주 부여됬고 행사 가격이 11,500원이다.

하지만 18년 3월 30일부터 행사가 가능하고, 신주인수권부사채(BW)도 메디치인베스트먼트, 엔피홀딩스에 322,600 주 씩 있으며

발행시 행사가는 15,500원으로 공모가와 똑같다. 보호예수 기간은 상장후 1개월 / 상장후 1년으로 나뉜다.

 

그러나 지금 유통가능물량으로 기존 구주가 32.96% 가량 되는데 아마 기관들 내역이 정확히 안밝혀져서 불안한 부분이 있다.

 

뉴파워프라즈마 같은경우 이전부터 비상장주식으로 거래가 되어왔는데 16년 6월까지도 16,000원 이상에서 거래가 된것으로 보인다.

장외 거래 최고가는 약 23,000원 사이까지 올라간듯하여 장외로 매수한 구주들도 당장 매도가 나오진 않을것으로 보인다.

 

뉴파워프라즈마 같은 경우 RPG 시장이 국내 독점 및 해외 2위 기업이기 때문에 독점이라는 메리트에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나, 첫날 차익 실현 물량들이 해소된다면 투자해도 좋을 듯 싶다.

아래는 기관 수요예측에서 18,000원 이상으로 신청한 기관들이 61% 이상의 비중을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소문내기 활동을 하면서 해당 광고업체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반응형